top of page
title6.jpg

골다공증

뼈의 강도는 뼈의 양과 뼈의 질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20대에서 30대까지 골밀도가 가장 높고 그 이후로는 조금씩 감소하다가 여성의 경우 첫 폐경 후 5년간 급속도로 골밀도가 약해집니다.골다공증은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쉽게 골절됩니다. 골다공증은 그 자체만으로는 거의 증상을 일으키지 않고 뼈가 부러져서 골다공증을 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골밀도 검사를 통해 뼈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골절 예방의 중요한 첫 걸음입니다.

정상뼈.jpg

< 정상인 뼈 >

골다공증.jpg

< 골다공증 뼈 >

골밀도 선별검사

65세 이상 여성 및 70세 이상 남성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뼈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고연령군에서는 골밀도 검사가 실시되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는 남녀

 ·조기 폐경된 경우

 ·골다공증의 가족력이 강한 경우

 ·50세 이후 골절 병력

 ·저체중

 ·약한 외상에 의한 골절 병력

 ·낙상의 위험이 높은 경우

 ·골다공증 위험이 높은 약물 복용(스테로이드 등)

 ·만성류마티스성 관절염, 만성 신장질환, 식이장애

 ·흡연자의 경우

 ·거의 매일 하루 3잔 이상의 음주를 하는 경우

63_1 골밀도검사기.JPG

< 골밀도 검사기기 >

골밀도 검사 해석

T점수란?

T점수는 건강한 젊은 성인의 골밀도와 비교한 점수

비정상적 결과값의 의미

 ·T점수 (-1) ~ (-2.5): 골감소증으로 골소실이 시작되고 있다는 의미

 ·T점수(-2.5) 미만: 골다공증을 의미

골다공증 치료

골다공증 환자는 금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은 젊은 사람에게는 골량을 증가시키고, 폐경 여성에서 골소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하루 30분 이상, 주 3회 이상 지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칼슘이 든 균형된 식사가 필요하며, 필요시 칼슘과 비타민 D보충제를 복용합니다. 골다공증이 진단되면 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약물치료를 합니다.

logo-02.png

경기도 하남시 미사강변중앙로 226  우성르보아파크 3층 301호

대표번호 : 031-8027-9001

팩스 : 031-8027-9002

사업자등록번호 : 629-97-00553

대표자 : 김형주

Copyright @ 2020 서울아산바른의원 ㅣ Powered  by 서울아산바른병원

bottom of page